2025년 8월 27일 국무회의를 통해 발표, 의결 되었습니다.
국민의 민생과제을 집중 지원했으며, 미래 도약을 위한 우리 경제의 경쟁력 제고와 사회구조 개혁에도 중점을 두었고 더나은 내일을 위한
약자복지 / 경제활역 확산 / 미래를 준비하는 체질개선 / 안전한 사회, 글로벌 중추 외교
등 4대 내용으로 집중적으로 투자 했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2025년 예산안을 정책을 살펴볼까 합니다.
1. 청년편
정부는 8월 27일(화) 국무회의에서 「2025년도 예산안」을 발표, 의결했습니다.
예산안은 국민이 원하는 민생과제를 집중 지원했으며,
미래 도약을 위한 우리 경제의 경쟁력 제고와 사회구조 개혁에도 중점을 뒀습니다.
구체적으로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약자복지, 경제활력 확산, 미래를 준비하는 체질개선,
안전한 사회·글로벌 중추 외교 등 4대 투자중점에 집중적으로 투자했습니다.
특히, 청년의 힘찬 미래도약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먼저, 취업·자격증 특강 등 미취업 졸업생 6만 명을 지원하는 미취업 졸업생 특화지원이 신설됩니다.
또한, 특화훈련-일자리 도약 장려금-기술 연수로 이어지는 빈 일자리 채움 3종 패키지도 신설합니다.
*빈 일자리 특화 취업지원(1.3만 명)-일자리 도약 장려금(4.5만 명)-기술 연수(200명)
더불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청년 주택청약 당첨시
분양가의 80%까지 저리(최저 2.2%,1.1만 명)로 대출해주는 청년주택 드림 대출을 출시합니다.
2. 부모편
육아휴직 급여 상한을 월 150만 원에서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합니다.
(1-3개월) 250만 원, (4-6개월) 200만 원, (이후) 160만 원
또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을 5일에서 20일로 확대합니다.
더불어, 사업주와 동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육아휴직 동료를 위한 육아휴직 업무분담 지원금도 신설합니다.
1.9만 명에게 월 20만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대체인력지원금 또한 80만 원에서 120만 원으로 인상합니다.
아이돌봄서비스의 정부지원 기준과 비율도 대폭 확대합니다.
직장어린이집 긴급돌봄서비스를 신설하여 65개소에서 일시돌봄, 병원동행, 하원지도를 지원합니다.
3. 소상공인편
1. 소상공인 금융지원 3가지
(1) 2조원 규모 전환 보증 중도상환 수수료 지원
(2) 7%이상 -> 4.5% 대환대출 프로그램지속 지원
(3) 정책자금 상환연장제도 지원대상 및 연장기간 확대 (최대 5년 연장)
2 소상공인의 재기를 위한 단계별 지원
(1) 새출발기금을 30조원에서 40조원+ α
(2) 점포철거 지원금을 최대 250만원에서 400만원 확대
(3) 취업준비를 위한 사전교육 참여수당 60만원
(4) 심층교육 훈련수당 월 50~110만 원을 최대 6개월 지원
(5) 구직을 위해 취업자에게 성공수당 190만원 / 고용주에게는 고용촉진장려금 월 30~60만원 1년간 지원
자세한 내용은 "기획재정부 경제e야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링크 : https://blog.naver.com/mosfnet/223622567428